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카카오톡, 인스타처럼 변신? [친구 탭 개편 분석]

by 콩빠빠 2025. 8. 20.
반응형

카카오톡의 대대적 개편 소식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새로운 변화를 예고했습니다.
다음 달부터 ‘친구’ 탭이 기존의 전화번호부식 구조에서 벗어나, 인스타그램 피드 형태로 개편된다는 소식인데요.

이는 카톡 출시 15년 만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1. 카톡 vs 인스타: 무엇이 달라지나?

기존 카톡: 친구 이름을 가나다순 나열 → 단순 연락용

개편 카톡: 친구들이 올린 게시물 피드 중심 → 콘텐츠 소비 중심


즉, 연락 도구에서 SNS로 진화하려는 시도라 볼 수 있습니다.


2.왜 이런 시도가 필요했을까?

카카오의 가장 큰 고민은 바로 체류 시간 감소입니다.

2021년 5월: 1인당 월평균 사용시간 822분

2024년 5월: 731분 (약 90분 감소)


사람들이 카톡을 열어도 대화만 하고 바로 나가버리니, 광고 노출 시간이 줄어든 거죠.
👉 이번 개편을 통해 “친구들 일상 콘텐츠 확인 → 체류 시간 증가 → 광고 매출 확대”라는 선순환을 노린 것으로 보입니다.


3. 내부 반응은 왜 엇갈릴까?

긍정적 시각

“수익성 개선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

“카톡을 단순 채팅이 아닌 일상 공유 공간으로 확장할 수 있다”


부정적 시각

“카톡의 본질은 메신저인데, SNS식 UI는 혼란만 초래할 수 있다”

“이용자들이 오히려 불편해져 이탈할 위험도 있다”



즉, 광고·플랫폼 확장 vs 본질 훼손이라는 딜레마가 드러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의 전망

카카오는 다음 달 열리는 ‘이프 카카오’ 행사에서 이번 개편 내용을 공식 발표할 예정입니다.
또한, 이번 개편을 시작으로 추가적인 피드형 전환과 이용자 피드백 반영을 통해 서비스를 발전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리: 기회일까, 위험일까?

기회: 체류 시간 증가 → 광고 매출 극대화 → 카톡의 플랫폼 확장

위험: 기존 사용자 불편 → 본질 훼손 → 충성 이용자 이탈


카카오톡은 한국인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은 서비스이기 때문에,
이번 변화가 단순한 실험이 아닌 향후 플랫폼 전략의 분수령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